© 퀸즐랜드 대학교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에서 보전 활동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도요새물떼새 보전 실무자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도요물떼새 개체군은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따라 많은 종들이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대부분의 종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종에서는 최근 개체수가 안정되거나 회복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를 이끄는 특정 관리 조치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효과적인 전략과 비효과적인 전략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 도요물떼새의 장기적인 생존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도요물떼새 보전 조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하여, 도요물떼새 생존율 향상 효과를 평가하고 현재 보전 활동의 부족한 부분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도요물떼새 서식지 관리자분들께 설문조사 참여 또는Elize Ng ([email protected])를 통해 보전 활동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설문은 한 개의 보전 조치에 대해 약 15분이 소요되며, 추가적인 조치가 있을 경우 조치당 5분이 더 소요됩니다. 도요물떼새와 그들이 의존하는 철새이동경로 보호를 위해 여러분의 소중한 경험을 공유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현재 설문은 인도네시아어, 중국어, 일본어로 번역 중이며, 이외 언어로 응답을 원하시는 분들은 번역본을 기다려 주세요!
프로젝트 랜딩 페이지: https://translatesciences.com/resources/shorebirds/
프로젝트 상세 요약
도요물떼새 개체군은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를 따라 많은 종들이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방대한 지리적 범위에 걸쳐 있는 해당 경로는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언어적 환경이 혼재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보전 노력을 조정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며, 이는 종종 지역 전반에 걸친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대부분의 종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지만, 일부 종에서는 개체수 안정이나 회복의 조짐이 보이며 희망을 주고 있는 반면, 이를 가능하게 한 구체적인 관리 조치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효과적인 전략과 비효과적인 전략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 도요물떼새의 장기적인 생존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도요물떼새 보전 조치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고 종합하여, 도요물떼새 생존율 향상 효과를 평가하고 현재 보전 활동의 부족한 부분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1) 체계적인 문헌 검토 (2) 도요물떼새 실무자분들의 의견 수렴의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입니다. 수집된 자료는 도요물떼새 보전 전략의 핵심 요소를 정리한 실용적인 핸드북 개발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설문조사 QR 코드:
설문조사 관련 문의: Elize Ng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