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

관련뉴스

FAO/EMPRES-AH 조류인플루엔자 상황 업데이트 (2025년 3월 – 2025년 6월)

면책조항: 지도에 표시된 경계, 지명, 표기 등은 FAO특정 국가, 지역, 도시, 행정당국의 법적 지위나 경계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지도상의 점선은 합의되지 않은 경계를 나타내며, 잠무카슈미르 지역의 통제선은 인도와 파키스탄 합의된 것으로 표시되었다. 해당 지역의 최종 지위는 아직 미합의 상태다.
출처: United Nations Geospatial. 2020. 세계 지도. [2025년 5인용]. EMPRES 글로벌 동물질병 정보시스템(EMPRES-i),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국가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FAO/EMPRES-AH는 전 세계 조류인플루엔자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국가 및 국제 소식통과 학술논문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해 정보를 구축하고 있다. 각국 및 지역 사무소와의 협력, 현장 감시 사업, OFFLU(www.offlu.org) 등 전문 네트워크를 통해 발병 사례, 감시 결과, 유행 바이러스의 유전적 특성 등 신속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이 정보는 EMPRES 글로벌 동물질병 정보시스템(EMPRES-i+)에 저장되며, https://empres-i.apps.fao.org/에서 열람 가능하다.

2025년 3월 11일부터 6월 9일까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아형 3종(H5N1, H5N2, H5N9)과 저병원성 아형 2종(H9N2, H10N3)이 보고됐다. H5Nx형 HPAI는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이미 정착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순환 중이다.

캄보디아는 깜퐁스푸(2건), 끄라체(1건) 지역의 가금류에서 총 3건의 H5N1 발생 사례를 보고했다.

중국(대만성)은 타이난시에서 야생 저어새(Platalea minor)에서 H5N1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일본에서는 가금류에서 HPAI 발병은 없었지만, 야생조류에서 총 96건의 HPAI 사례가 보고됐다. 이 중 86건은 H5N1형, 7건은 H5형으로, 큰부리까마귀(Corvus macrorhynchos)에서 37건이 확인됐다. 4월부터 5월 중순 사이에는 홋카이도 동부에서 바다쇠오리(Synthliboramphus antiquus), 큰회색머리아비(Gavia arctica), 뿔바다오리(Aethia cristatella), 흰수염바다오리(Cerorhinca monocerata), 흰눈썹바다오리(Cepphus carbo)에서 처음으로 H5N1이 확인됐다. 해양 포유류에서도 점박이물범(Phoca vitulina), 해달(Enhydra lutris) 등 최소 3개 개체에서 H5N1이 검출됐다. 이는 일본에서 해당 종에서의 첫 감염 사례다. 해당 바이러스는 2025년 3월 러시아 오호츠크해에서 뿔바다오리에서 분리된 H5N1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참고자료]

필리핀은 중부 루손 지역의 가금류에서 H5N1 발병 사례 3건, 수도권 야생조류(종 미상) 2건에서 H5N1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또한, 비콜 지역의 오리 농장에서는 필리핀 최초로 H5N9형 HPAI가 보고됐다.

대한민국은 닭과 오리 농장을 포함한 4개 시도에서 총 11건의 H5N1 HPAI 발생 사례가 보고됐다. 야생조류 감염 사례는 6건으로, 가창오리(Sibirionetta formosa), 붉은부리갈매기(Chroicocephalus ridibundus), 말똥가리(Buteo buteo), 왜가리(Ardea cinerea), 기러기아과 조류 및 가마우지과 조류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특히 전라남도에서는 야생 삵(Prionailurus bengalensis)에서 H5N1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한국 내 야생 포유류에서의 첫 감염 사례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순환 중이며, 간헐적으로 사람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캄보디아는 깜퐁스푸와 끄라체 지역에서 각각 1건씩, 총 2건의 인간 H5N1 감염 사망 사례를 보고했다. 베트남은 떠이닌(Tay Ninh) 지역에서 1건의 인간 감염 사례를 보고했다. 중국은 총 11건의 H9N2형 인간 감염 사례(충칭 1건, 광시 1건, 구이저우 3건, 허난 1건, 후난 4건, 윈난 1건)와 H10N3형 감염 1건(산시), H5N1형 감염 1건(광시자치구)을 보고했다.

H5N1, H5N2, H5N5, H5N6, H5N8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철새를 통해 장거리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3~6월은 조류인플루엔자 활동이 낮아지는 시기로, 향후 수개월간 가금류, 야생조류, 인간 감염 사례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H5Nx형 HPAI에 감염된 조류 종의 전 세계 목록은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며, 2021년 이후 새롭게 보고된 종은 주황색으로 표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