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사로베쓰습원 [EAAF 151]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82
[EAAF 151] 사로베쓰습원

안녕하세요!

이번 주 철새서식지 이야기의 주인공은 사로베쓰습원입니다. 2021년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로 등재된 사로베쓰 습원은 람사르 습지이며 오리기러기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82

일본 – 사로베쓰습원 [EAAF 151]

사로베쓰습원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사로베쓰강을 따라 이탄지대와 늪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로베쓰습원는 러시아의 번식지에서 도착하는 이동성 물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입니다. 이 서식지는 일정하게 20,000~40,000개체의 물새들의 삶을 지탱하며 특히 오리기러기류에게 중요합니다.

사로베쓰습원은 동아시아 지역의 큰부리큰기러기(Middendorf’s Bean Goose) 개체군의 거의 절반과 쇠기러기의 약 14%를 꾸준히 지원합니다. 또한 이 곳에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인 두루미(취약, VU)와 작은 흰이마기러기(취약, VU)가 서식합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81 구마가와하구 [EAAF 081]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81
[EAAF 081] 구마가와하구

안녕하세요!

이번 주는 일본의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사이트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은 구마가와하구입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81

일본 – 구마가와하구 [EAAF 081]

구마가와하구는 일본 남부 구마모토현에 있습니다. 이 하구는 야쓰시로만에 있는 넓은 갯벌입니다.

구마가와하구에는 도요물떼새류를 포함해 약 160종의 야생 조류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서식지는 일본 도요물떼새류이동 지역 습지 목록(“Wetland Inventory for Migration Area of shorebirds in Japan”)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구마가와하구는 저어새(EN, 위기), 알락꼬리마도요(EN, 위기), 검은머리갈매기 (VU, 취약), 붉은어깨도요 (EN, 위기)와 같은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물새를 비롯해 개꿩, 마도요(NT, 준위협), 중부리도요, 청다리도요, 노랑발도요(NT, 준위협), 뒷부리도요, 흰물떼새, 큰뒷부리도요(NT, 준위협), 좀도요(NT, 준위협), 민물도요와 같은 다양한 종을 지원합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80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 [EAAF 109]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80
[EAAF 109]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인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80

미국 –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 [EAAF 109]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Yukon Delta National Wildlife Refuge)은 미국 알래스카 남서부에 있습니다.

북극 지역에 위치한 유콘삼각주는 50만 개체 이상의 물새가 서식하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이 곳에는 쇠솜털오리(취약, VU), 바다꿩(취약, VU) 및 알류샨제비갈매기(취약, VU)와 같은 멸종위기종이 서식합니다.

유콘삼각주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에서 위성 추적장치가 부착된 큰뒷부리도요(준위협, NT) 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상에서 이동성 물새의 놀라운 여정을 보여줬습니다. 가을철 이동시기에는 7일 동안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까지 쉬지 않고 이동했습니다. 봄철 이동 중에는 휴식을 위해 서해에 잠시 도래한 후 번식지로 돌아가 이동경로를 마쳤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9 큐팔루크 [EAAF 133]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9
[EAAF 133] 큐팔루크

안녕하세요!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은 미국 알래스카에 위치한 큐팔루크(Qupałuk)입니다.

어떤 철새서식지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9

미국 – 큐팔루크 [EAAF 133]

큐팔루크(Qupałuk)는 북극 해안 평야의 알래스카 국립석유보존지(NPR-A) 내 테섹푸크(Teshekpuk)호수의 북동쪽에 있습니다. 이 서식지는 툰드라 습지와 융해호소를 포함합니다.

이 서식지와 주변 지역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으며 매년 약 30,000개체의 이동성 물새, 특히 도요물떼새류의 중요한 번식지입니다. 그들 중 많은 개체수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합니다.

큐팔루크에는 약 6,500개체의 민물도요들이 번식합니다. 또한 이 곳은 멸종위기에 처한 쇠솜털오리(취약, VU)와 안경솜털오리(준위협, NT)의 번식지이며 털갈이를 하는 기러기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8 하일 하올 [EAAF 106]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8
[EAAF 106] 하일 하올

안녕하세요!

오늘은 물새를 포함한 다양한 야생동물의 주요 보호구역으로 알려진 방글라데시의 하일 하올(Hail Haor)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8

방글라데시 – 하일 하올 [EAAF 106]

하일 하올은 방글라데시 북동부 지역의 언덕 사이에 있는 내륙 유역입니다. 이 서식지는 연꽃과 같은 정수식물이 있는 개방수면과 자생 늪지대 숲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일 하올은 방글라데시에서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유일한 실질적인 습지보호구역입니다.  바이카 빌 습지보호구역(Baikka Beel Wetland Sanctuary)이 수생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복원하기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많은 개체수의 오리류와 도요물떼새류를 포함하여 최소 170종의 새가 이 보호구역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이 습지는 팔라스바다수리(위기, EN)와 항라머리검독수리(취약, VU)와 같은 세계적으로 멸종위협을 받는 종들이 서식하는 곳입니다. 상당한 개체수의 황갈색유구오리, 흑꼬리도요(준위협, NT), 목도리도요와 Large-billed Reed Warbler를 포함한 휘파람새류가 하일 하올을 방문합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7 니줌딥국립공원 [EAAF 102]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7
[EAAF 102] 니줌딥국립공원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 드릴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는 방글라데시의 중요한 물새 서식지로 알려진 니줌딥국립공원(Nijhum Dweep National Park)입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7

방글라데시 – 니줌딥국립공원 [EAAF 102]

니줌딥국립공원은 방글라데시 해안 지역의 조간대에 있습니다. 국립공원의 동쪽에 위치한 도마르 차르라는 작은 섬이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립된 위치와 갯벌로 둘러싸여 있는 도마르 차르는 이동성 물새에게 특히 월동지로서 중요한 곳입니다. 2010년 조사에서 약 34,900개체의 도요물떼새류가 이곳에서 경유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넓적부리도요(위급, CR)와 청다리도요사촌(위기, EN)와 같은 전 세계적으로 위협을 받는 물새종들이 이 서식지에서 관찰된 기록이 있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6 하칼루키 하올 [EAAF 104]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6
[EAAF 104] 하칼루키 하올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습지 생태계 중 하나인 방글라데시의 하칼루키 하올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6

방글라데시 – 하칼루키 하올 [EAAF 104]

방글라데시 북동부에 위치한 하칼루키 하올은 서로 연결된 238개 이상의 다년생 및 계절성 호수형 습지가 어우러진 방글라데시 최대의 습지입니다

하칼루키 하올은 다양한 물새, 특히 오리기러기류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이동성 도요물떼새류의 중요한 월동지입니다. 국가에서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Ecologically Critical Area)으로 지정되었으며 람사르 습지이기도 합니다.

붉은가슴흰죽지(위급, CR)와 상당수의 적갈색흰죽지(준위협, NT), 고방오리, 알락오리를 포함한 20,000-66,000개체의 이동성 물새가 하칼루키 하올을 찾아옵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5 탕구아 하올 [EAAF 105]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5
[EAAF 105] 탕구아 하올

안녕하세요!

오늘의 철새 이야기는 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자연 그대로의 저수지 중 하나인 방글라데시의 탕구아 하올에서 전해드립니다.
어떤 이동성물새들이 살고 있을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5

방글라데시 – 탕구아 하올 [EAAF 105]

방글라데시 북부에 위치한 탕구아 하올은 인도에 인접한 수르마강의 범람원에 있습니다. 방글라데시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자연 그대로의 범람원 습지 중 하나입니다.

이 서식지는 90종이 넘는 이동성 물새의 중요한 월동지이며 매년 30,000~40,000개체의 물새, 특히 이동성 오리류가이곳을 방문합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의존하는 전국에서 가장 풍부한 민물고기 번식지이기도 합니다. 이 곳은 람사르습지이기도 합니다.

탕구아 하올은 붉은가슴흰죽지(위급, CR)와 흰죽지(취약, VU)를 포함한 세계적인 멸종위기종과 더불어 상당한 개체수의 적갈색흰죽지(준위협, NT), 청머리오리(준위협, NT), 흑꼬리도요(준위협, NT), 알락오리, 고방오리, 발구지에게 서식지가 되어줍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_foundation 팔로우

«   ||   »

#74 소나디아섬 [EAAF 103]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4
[EAAF 103] 소나디아섬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글라데시의 소나디아섬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4

방글라데시 – 소나디아섬 [EAAF103]

방글라데시의 남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소나디아섬은 테크나프 반도에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이 서식지에는 소나디아섬와 인접한 마헤시칼리섬의 일부가 포함됩니다.

소나디아섬에는 방글라데시 남동부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맹그로브 숲이 있습니다. 갯벌과 사구는 이동성 물새와 이 곳에서 살아가는는 물새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넓적부리도요의 주요 월동지 중 하나입니다.

이 서식지에는 넓적부리도요(위급, CR), 청다리도요사촌(위기, EN) 및 붉은어깨도요(위기, EN)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들이 서식합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73 나우한호국립공원 [EAAF 062]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73
[EAAF 062] 나우한호국립공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필리핀의 나우한호국립공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73

필리핀 – 나우한호국립공원 [EAAF062]

나우한호국립공원은 필리핀 오리엔탈 민도로주 북부에 있습니다.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호수이며 필리핀에서 다섯 번째로 큰 담수호입니다.

나우한호는 많은 오리류, 왜가리과, 제비갈매기류, 뜸부기가 먹이활동과 월동을 하는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람사르 습지이기도 한 이 서식지는 원주민을 포함한 지역 주민의 생계에도 중요합니다.

나우한호국립공원은 댕기흰죽지, 완더링휘슬링덕을 포함하여 최소 15종의 물새에게 생활 터전을 제공합니다. 회색다리뜸부기와 필리핀뜸부기가 관찰된 기록도 있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