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

인천-홍콩 자매 서식지 협약 영상


관련뉴스

인천-홍콩 자매 서식지 협약 영상

EAAFP 사무국이 인천의 송도 갯벌 (EAAF 145) 홍콩의 마이포 이너  베이 (EAAF 003) 자매 서식지 협약에 대한 영상 “A Tale of Black-faced Spoonbill Linking Two Cities, Incheon-Hong Kong Sister Site Agreement”  공개하였다.

여러 나라를 걸쳐 이동하는 이동성 물새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국가나 지역의 노력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국제적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2019,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와 홍콩 정부는 철새이동경로 서식지 네트워크인 송도갯벌과 홍콩 마이포 습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매 서식지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서식지의 대표적인 철새는 인천에서 번식하고 홍콩에서 월동하는 저어새(IUCN 적색목록 위기, 천연기념물 205-1, 멸종 위기 야생동물 1)이다. 1980년대에 세계 개체 수가 마리에 불과할 만큼 멸종 위기에 놓였던 저어새는 IUCN 적색목록에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서만 만날 있는 이동성 물새이다. 저어새는 2021 인천시를 대표하는 깃대종의 하나로 선정된 상징성 있는 종이기도 하다. 인천과 홍콩은 지리적으로 2 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지만 저어새는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인천시와 홍콩은 방문자 센터 설립, 전문가 시민과의 교류, 정보교환 향후 저어새 철새 보전 활동을 위한 활동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자매 서식지 협약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학적 협업과 정보교환은 서식지를 관리하는 지자체들이 나은 보전 활동을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   ||   »

재단법인 EAAFP, 2020 민간단체 지원사업 결과보고 워크숍 개최하다

이에이에이에프피

관련뉴스

재단법인 EAAFP, 2020 민간단체 지원사업 결과보고 워크숍 개최하다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는 한국남동발전 ㈜ 영흥발전본부와 인천광역시의 후원으로 2021년 5월 27일 오후 2시, 2020년 민간단체 지원사업 결과보고 워크숍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재단의 2020년 민간단체 지원사업 8개 수혜기관들의 사업 결과 보고와 곧 시작될 2021년 민간단체 지원사업에 대한 안내를 위해 개최되었다.

워크숍에는 강화도시민연대, 갯벌생태교육허브 물새알, 생태교육센터이랑, 시흥갯골사회적협동조합, 인천녹색연합, 인천야생조류연구회, 인천환경운동연합, DMZ생태연구소를 포함한 총 8개 시민단체들의 사업담당자와, 한국남동발전 ㈜ 영흥발전본부, 인천광역시 관계자를 포함한 EAAFP 사무국과 재단 직원들이 참석하였다.

본격적인 워크숍이 진행되기에 앞서, EAAFP 사무국 대표이자 재단법인 EAAFP의 이사장인 더그 왓킨스 대표의 축사말씀이 있었다. 그는 “코로나로 인해 우리의 생활방식은 바뀌었지만 우리의 노력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재단법인 EAAFP는 파트너들과 함께 다양한 보존 활동을 기획하고 지원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라며 민간단체 지원사업의 지속성과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 했다.

뒤이어 한국남동발전 ㈜ 영흥발전본부의 정도영 녹색환경부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그는 “이번 사업이 일회성 사업이 아닌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사업이 되도록 EAAFP, 인천시와 함께 협의해서 노력하도록 하겠다.” 라고 지원사업의 지속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 환경기후정책과의 박경지 주무관의 인사말씀이 이어졌다. “인천광역시 측에서 EAAFP가 주도하는 민간단체 지원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시의) 정책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라며 민간단체 지원사업을 이끌어준 EAAFP와 후원해준 한국남동발전 ㈜ 영흥발전본부, 8개의 사업 집행 시민단체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모든 축사말씀과 인사말씀이 끝난 뒤, 사업집행기관의 지원사업 결과보고가 이어졌다. 4단체씩 총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보고를 진행하였다. 가장 먼저 (사)생태교육센터 이랑 남지연 담당자의 ‘두루미, 인천에 날다’ 사업에 대한 결과보고가 진행되었다. 그녀는 지속적인 두루미 보호활동을 위해 시민들에게 두루미와 두루미 서식지에 대한 중요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으며, 지원사업 기간동안 실내교육, 현장탐조교육, 탐조모니터링 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고 언급했다. 향후 발전을 위해 다른 단체와 협력하여 공동 모니터링을 실시하려는 의지를 표하기도 했다.

두 번째 결과보고의 순서는 갯벌생태교육허브 물새알 여상경 담당자의 ‘With Crane’ 사업이었다. 인천시조 두루미 환영식, 두루미 먹이주기, 두루미 잠자리 조사, 조류 모니터링 활동가 교육 등의 행사를 진행했으며 두루미 모니터링 지역을 확대하고 참가자의 수도 확대하는 등의 자체평가가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세 번째 결과보고의 순서는 강화도시민연대 정의순 담당자의 ‘두루미학교’ 사업이었다. 해당 사업의 프리젠테이션은 담당자가 사전에 녹화한 영상으로 진행되었다. 강화도시민연대는 두루미 모니터링, 인식증진을 위한 다양한 놀이, 미꾸라지 방사 등의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 중에서도 두루미 모니터링을 통해 그에 따른 두루미 인식증진의 효과가 확실했고, 미꾸라지 방사 행사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의 효과를 거두었다고 언급했다.

네 번째 결과보고의 순서는 인천녹색연합 박정운 담당자의 ‘백령도 지역 이동 물새류에 대한 대중 인식증진 활동’ 사업이었다. 인천녹색연합은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 등 멸종위기 철새들의 번식지인 백령도의 특징을 이용해 철새의 대중인식 강화를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청소년 물새학교, 백령도 습지와 새 교육홍보 영상 제작 등의 활동을 진행했으며, 향후 더 많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첫번째 그룹의 결과보고 후,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첫 질문은 (사)생태교육센터이랑 사업에 대한 질문으로, 사업을 통해 파악된 총 두루미 개체수에 대한 질문이었다. (사)생태교육센터이랑의 남지연 담당자는 총 42마리라고 답변했으며, 추후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영종도에서도 관찰하고 싶다고 전했다. 그 다음으로 갯벌생태교육허브 물새알을 향해 강화 집단 내 어떤 지역이 가장 많이 두루미의 잠자리로 활용되고 있는지 궁금하다는 질문과 과학적 먹이공급에 대한 매뉴얼에 관해 EAAFP가 도울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여상경 담당자는 영종도 근처를 주요 잠자리로 추정하고 있다고 답변했으며, 두루미 먹이의 양과 먹이의 횟수를 다른 지역의 사례와 비교하여 공급할 필요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강화도시민연대의 김순래 담당자는 인천 세어도를 갯벌정원으로 바꾸겠다는 인천시의 계획에 두루미 잠자리 확충도 같이 기획하자는 제안을 했으며, 두루미의 주요 쉼터인 제방 쪽으로 관광객을 통제할 것을 인천시와 EAAFP에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강화도시민연대와 인천녹색연합에 교육대상에 대한 인식증진 평가지표 유무에 대한 공통질문이 주어졌다. 강화도시민연대 김순래 담당자는 코로나19 때문에 학생들을 교육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전했으며, EAAFP 측의 지원 덕에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육 키트는 있으나 아직 활용하지 못하여 향후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언급했다. 인천녹색연합의 박정운 담당자는 교육대상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인 만큼 평가지표의 수준이 높지는 못하나, 간단한 설문조사를 제공할 예정이며 앞으로 체계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두번째 그룹의 결과보고가 이어졌다.

인천야생조류연구회 김대환 담당자는 ‘인천 교동도의 새와 탐조관광’ 사업을 발표하였다. 교동도의 조류 분포도를 근거로 3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탐조 관광의 가능성을 타진하였으며, 자체 조사 결과 탐조 관광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조류는 기러기류와 맹금류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여섯 번째 결과보고의 순서는 DMZ 생태연구소 김승호 담당자의 ‘한강-임진강 하구 이동성 물새류 모니터링’ 사업이었다. 민간인 활동이 제한된 민통선과 임진강 권역의 물새류를 모니터링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시민 인식을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계절별로 물새류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겨울철 생물을 고려한 농업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과 이동성 물새류의 주요 서식지인 한강-임진강 하구 유역을 주요 모니터링 지점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제언을 남겼다.

일곱 번째 결과보고의 순서는 인천환경운동연합 박옥희 담당자의 ‘시민들과 함께하는 인천 생태탐조기행’ 사업이었다. 도심근접 갯벌, 천연기념물 갯벌, 무인도 등 여러 곳을 다니며 탐조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원사업을 통해 철새 월동지와 서식지에 대한 보호 정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론을 형성했으며 지속적인 대시민 홍보 및 교육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마지막 결과보고의 순서는 시흥갯골사회적협동조합 송은희 담당자의 ‘시흥습지 시민모니터링 활성화’ 사업이었다. 시흥습지에 서식하는 이동성 물새를 모니터링하여 시흥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알리고 인식을 증진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고 밝혔다. 담당자는 시민 중심의 모니터링으로 시민과학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언급했으며, 시민모니터링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두번째 그룹에 대한 질의응답이 끝난 후, 이윤경 EAAFP 사무국 대외협력매니저가 2021년 민간단체 지원사업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다. 사업의 개요는 전반적으로 2020년과 비슷하지만 올해부터는 겨울철새와 여름철새를 구분하여 2021-2022 제안서를 함께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8월부터 신청을 받아 심사를 거쳐 9월에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의 생태문화예술 협력사업인 ‘새며들다’ 영상 시리즈를 소개하며 워크숍을 마무리했다.

«   ||   »

<철새에 새며들다> : 새며들다 시리즈 1편

이에이에이에프피

새며들다 시리즈

<철새에 새며들다> : <새며들다> 시리즈 1편

<새며들다> 시리즈의 1편은 바로 ‘철새에 새며들다‘입니다.

‘저어새와 친구들’이라는 시민 탐조 모니터링팀의 이야기를 담았는데요,
지금 바로 영상으로 확인해보시죠!

<철새에 새며들다> 영상으로 보기

«   ||   »

<새며들다>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이에이에이에프피

새며들다 시리즈

<새며들다>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의 협력으로,
생태문화예술 토크쇼 <새며들다> 시리즈가 5월부터 10월까지
매달 1회씩 올라올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 이미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EAAFP 유튜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user/EAAFPS/

 

  ||   »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광역시회, 재단법인 EAAFP에 환경보호 후원금 100만원 전달

이에이에이에프피

관련뉴스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광역시회, 재단법인 EAAFP에 환경보호 후원금 100만원 전달

대한전문건설협회의 로고 ⓒ대한전문건설협회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EAAFP)는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광역시회가 인천 내 철새와 철새서식지 보전을 위한 후원금 100만원을 전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전반의 이동성 물새와 그 서식지를 보존하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이하 EAAFP)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 2019년 설립되었다.

대한전문건설협회가 이번에 기탁한 후원금은 철새 서식지 보전 및 시민들의 환경보호 인식 증진에 사용될 예정이다.

EAAFP는 2002년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WSSD) 발의안 목록에 채택된 자발적이고 비형식적인 국제기구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전반의 이동성 물새와 그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2006년 11월 설립되었다. 현재 EAAFP에는 18개의 정부 파트너, 6개의 정부간 국제기구 파트너, 13개의 국제 NGO 파트너와 1개의 국제기구 파트너, 1개의 다국적기업 파트너를 포함 총 39개의 파트너로 구성되어 있다.

 

«   ||   »

EAAFP-연수문화재단 프로젝트, “철새에 새며들다” 영상 공개


관련 뉴스

EAAFP-연수문화재단 프로젝트, "철새에 새며들다" 영상 공개

21-0526-연수문화재단_새며들다_01철새_800x800px_국문-1

2021년 5월 21일, 재단법인EAAFP가 [새며들다] 프로젝트의 첫 번째 영상을 공개했다. [새며들다] 프로젝트는 EAAFP재단과 연수문화재단(YSFAC)이 2021년 3월에 체결한 양해각서에 따라 협업한 첫 프로젝트로, 2021년 세계철새의 날을 기념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이동성 물새와 그들의 서식지 보전의 중요성을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며 생태 보전을 위한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자 제작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첫 번째 영상에는 EAAFP 사무국이 있는 인천 연수구의 철새들을 소개한다. 인천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철새들에게 생태학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이다. 전세계의 저어새 개체수의 약 80%가 이곳 인천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검은머리갈매기, 큰뒷부리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의 국제적 멸종 위기종들의 중요한 번식지이자 중간기착지이다.

 

영상에는 람사르습지이자 EAAFP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인 인천송도갯벌(EAAF 145)과 연수구 지역에서 다양한 종의 철새들을 관찰하는 시민 모니터링팀이 소개되었다. 영상을 통해 비춰진 모니터링팀의 일과를 통해 철새들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일의 중요성에 대해 배우고 하늘을 수놓는 철새들의 아름다운 군무를 함께 느껴 볼 수 있다.

 

영상에는 철새 보호에 대한 위협 또한 소개되었는데 불법 낚시와 곳곳에 버려진 쓰레기는 철새에게 치명적인 위험 요소이다.

 

‘새며들다’ 영상 프로젝트는 총 6가지 주제의 영상이 한국어와 영어로 제작된다. 각 에피소드는 2021년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한 편씩 공개될 예정이다 

EP1: 철새에 새며들다

EP2: 습지에 새며들다

EP3: 연수구 송도기록에 새며들다

EP4: 음악에 새며들다

EP5: 시각예술에 새며들다

EP6: 생물다양성에 새며들다

 

 

#새며들다 #철새에_새며들다 #이동성물새 #습지 #EAAFP #재단법인EAAFP #YSAFC #연수문화재단 #WMBD #세계철새의날 #송도갯벌 #대한민국 #인천 #연수 #송도 #남동유수지

 

 

재단법인EAAFP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EAAFP)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전반의 이동성물새와 그 서식지를 보존하는 EAAFP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 2019년 설립되었다. 재단은 인천 송도에 위치하고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재단 홈페이지(https://foundation.eaaflyway.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새는 우리와 함께 숨쉬며 살아가는 친구입니다.

“새는 우리와 함께 숨쉬며 살아가는 친구입니다.” 최그린 후원자님

보호가 절실한 새들에 대한 인식 제고에 보탬이 되고 싶은 최그린 후원자. 조류연구, 일러스트, 생태교육 활동을 병행하면서 개인 SNS 채널을 통해 새와 자연을 친근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동성 물새에 관한 이야기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최그린 후원자님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새처럼 날고, 노래하고, 비상하라! 2021년 세계 철새의 날 기념 가상 합창

이에이에이에프피

관련뉴스

새처럼 날고, 노래하고, 비상하라! 2021년 세계 철새의 날 기념 가상 합창

2021년 5월 8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EAAFP)은 Bowerbird Collective와 협력하여 ‘새처럼 날고, 노래하고, 비상하라!’라는 테마로 2021년 세계 철새의 날 기념 가상합창 영상을 공개하였다. 새의 노래와 새의 비행을 기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20개국의 참가자들은 철새 보전을 위한 목소리를 높이고자 온라인으로 합창에 참여했다.

Bowerbird Collective의 공동 설립자인, 호주의 바이올리니스트 Simone Slattery과 첼로연주자 Anthony Albrecht은 각각 작곡과 연주를 통해 철새와 사람의 연결고리를 상징하는 곡을 완성하였다.

참가자들이 언어와 국적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합창에 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합창 영상에는 철새들이 이주기간동안 어떻게 그들의 서식지에 의존하는지를 보여주는 몇 개의 철새이동경로 서식지들이 포함되었다. 여기에는 호주의 Roebuck Bay (EAAF 111), 알래스카의 Copper River Delta, 동남아시아의 습지가 포함되었다.

EAAFP의 이번 가상합창 프로젝트는 세계철새의 날을 기념하면서 새처럼 노래를 불러준 전 세계의 참가자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다. 다음은 참가자들의 목록이다.

소프라노 :
Rainbow Casey, 미국
Jade Cooper, 호주
Cassie Guevara, 일본
Elizabeth Guy, 미국
Emma Horwood, 호주
Anja Hoppe, 스웨덴
Heather Irwin, 미국
Ruth Kilian, 영국
Margaret May, 호주
Ruth Novak, 미국
Sarah Pardys, 미국
Sharon Pang, 홍콩
Rosalind Holbrook, 호주
Emi So, 호주
Florence Jean Talirongan, 필리핀
Debra Thangarajah, 미국
Emma Williams, 네덜란드

알토 :
Tegan Asser, 호주
Rachel Anne Balawag, 필리핀
Ilse Bielen, 벨기에
Michelle Karen Bilan, 필리핀
Joanne Campbell, 호주
Catrina Clyne, 영국
Rosalie Day, 호주
Kim Evans, 영국
Iveta Gribuste, 라트비아
Frances Grindlay, 호주
Elizabeth Guy, 미국
Jeanette Hajncl, 호주
Marion Hill, 영국
Emma Horwood, 호주
Jaime Jackett, 호주
Yoshi Jakosalem, 필리핀
Eve Orenstein, 미국
Theresa Sciberras, 캐나다
Lydia Sharrad, 미국
Simone Slattery, 호주
Karen Stewart, 호주
Jessie Swan, 호주
Grace Vinaya Vinodkumar, 인도
Ming-chuan Woo, 홍콩

테너 :
John Carlo Bongales, 필리핀
Richard Linley, 미국
Timothy Reynolds, 호주
Philip Shaw, 호주
Maggie Slattery, 호주
Chung Long Tam, 홍콩

베이스 :
Nicholas Cannon, 호주
Alan Davies, 호주
Jose Duallo Jr., 필리핀
David Greco, 호주
Richard Linley, 미국
Daniel Luis, 필리핀
Philip Shaw, 호주
바이올린 : Simone Slattery

첼로 : Anthony Albrecht

사진 : Duade Paton, Georgina Steytler

그래픽 및 웹디자인 :  Anthony Albrecht

철새 영상 :
Anthony Albrecht
Milo Burcham
Jan van der Kam
Chris Purnell
Smith Sutibut
Khemthong Tonsakulrungruang
Dan Weller

Bird Call : www.xeno-canto.org

또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ASEAN 생물다양성 센터, 일본 환경부, WWT(Wildlife and Wetlands Trust), 홍콩야생조류협회, 한스자이델 재단 한국사무소, Suara Indonesia Dance, Acehnese Dancer, 국제두루미재단을 포함한 EAAFP의 일부 파트너들과 EAAFP 사무국 직원들은 2021년 세계 철새의 날 테마 ‘새처럼 날고, 노래하고, 비상하라!’를 각자의 모국어로 녹음하여 보내주었다.

영상에 포함된 철새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해준 사진작가와 영상작가들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그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Duade Paton, Georgina Steytler, Anthony Albrecht, Milo Burcham, Jan van der Kam, Chris Purnell, Smith Sutibut, Khemthong Tonsakulrungruang, Dan Weller

2021 세계 철새의 날 가상합창 프로젝트는 Bowerbird Collective, EAAFP, Arts South Australia, BirdLife International의 협력으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세계 철새의 날 가상합창으로 다시보기!

https://youtu.be/9iJScyiuuAI

세계 철새의 날 가상합창 글 영문으로 보기

Sing, Fly, Soar – Like a Bird! – 2021 World Migratory Bird Day Virtual Choir – Eaaflyway

세계 철새의 날 가상합창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World Migratory Bird Day | Virtual Choir (wmbdchoir.com)

«   ||   »

#24 옌청 국립공원 [EAAF 005]

이에이에이에프피

철새 서식지 이야기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24″_ 옌청 국립공원, 중국 [EAAF 005]

안녕하세요! 다들 화창한 봄 날씨를 즐기고 계신가요?

사실 5월은 가정의 달이기도 하면서 생물다양성의 달이기도 하답니다.

그 중 지난 5월 8일은 세계 철새의 날 (World Migratory Bird Day)이기도 했는데요, EAAFP가 소개하는 철새이동경로 서식지에 더 많은 관심을 함께 기울여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도 지난번 마이포 습지(EAAF003)에 이어 또다른 중국의 철새이동경로 서식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옌청 국립공원(EAAF005)인데요, 어떤 종류의 철새가 서식하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