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및 5개의 참여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하다

2021년 5월 13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 (이하 ‘EAAFP 사무국’)과 울산광역시, 그리고 5개의 참여기업 [현대자동차㈜, S-OIL㈜, 고려아연㈜, 대한유화㈜, ㈜경동도시가스]은 울산 태화강의 새로운 철새이동경로 서식지 네트워크 [EAAF 150] 등재를 기념하고 울산의 이동성 물새와 그들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울산광역시청에서 진행된 본 협약식에는 울산광역시, EAAFP 사무국, 그리고 5개 참여기업의 대표자들을 비롯한 귀빈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정부의 방역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제한된 참여인원으로 진행되었다.

업무협약식이 끝난 후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와 참여 기업의 직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철새 소개 영상이 기념식의 시작을 알렸다.  태화강에서 쉼을 얻는 팔색조, 장다리물떼새, 흰뺨검둥오리 등 다양한 종의 철새들의 모습은 태화강 보존의 중요성을 가시화하며 짧지만 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더그 왓킨스 EAAFP 사무국 대표가 울산광역시의 송철호 시장에게 태화강 FNS 등재 인증서를 건네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울산광역시의 송철호 시장은 태화강 회복을 위한 울산시민과 EAAFP 사무국, 그리고 참여 기업들의 노력에 감사하며 태화강의 FNS 지정을 위해 지난 8년간 수고한 모두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다양한 철새들이 이 지역에 머무는 것에 대한 생태학적 의미를 강조하며 시민과 기업, 그리고 울산시 모두 함께 자연환경과 서식지 보호에 앞장서기를 격려했다.

EAAFP 사무국의 더그 왓킨스 대표는 축사에서 태화강의 150번째 EAAFP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 등재를 축하하며, 철새와 서식지 보호에 헌신해 준 울산광역시와 참여 기업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는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한 기업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기업들과 추가 협력을 희망하며 EAAFP의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왓킨스 대표는 “울산시와 EAAFP 사무국, 그리고 참여기업 간의 MoU 체결은 책임 있고 협력적인 보존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각 공공, 민간, 비영리 단체의 노력은 태화강의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존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울산시의회의 박병석 의장 또한 감사의 말을 전달했다. 그는 한때 태화강이 환경 오염의 상징이었던 것을 회상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철새가 다시 날아다니는 태화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긴 여정을 강조했다. 박 의장은 “FNS등재 인증서는 그 모든 노력과 정성에 대한 선물이나 다름없다. 철새가 불러온 선순환의 날갯짓이 울산을 생태 도시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저와 우리 시의회에서도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FNS 등재식에 이어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그리고 5개의 참여기업은 ‘울산형 철새보호 플랫폼 구축 사업’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하였다. 협약식 이후 자리를 옮겨 각 기관들은 울산시청 햇빛광장에서 철새보호 조형물과 동판 제막식을 하였다.

아래 링크에서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그리고 참여기업의 MOU 체결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세요!

↓↓↓

(영문기사)
MOU Signing Ceremony between EAAFP Secretariat and Ulsan Metropolitan City

(Flickr 사진)
Ulsan FNS Designation Ceremony_210513

«   ||   »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및 5개의 참여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하다

2021년 5월 13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 (이하 ‘EAAFP 사무국’)과 울산광역시, 그리고 5개의 참여기업 [현대자동차㈜, S-OIL㈜, 고려아연㈜, 대한유화㈜, ㈜경동도시가스]은 울산 태화강의 새로운 철새이동경로 서식지 네트워크 [EAAF 150] 등재를 기념하고 울산의 이동성 물새와 그들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울산광역시청에서 진행된 본 협약식에는 울산광역시, EAAFP 사무국, 그리고 5개 참여기업의 대표자들을 비롯한 귀빈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정부의 방역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제한된 참여인원으로 진행되었다.

업무협약식이 끝난 후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와 참여 기업의 직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철새 소개 영상이 기념식의 시작을 알렸다.  태화강에서 쉼을 얻는 팔색조, 장다리물떼새, 흰뺨검둥오리 등 다양한 종의 철새들의 모습은 태화강 보존의 중요성을 가시화하며 짧지만 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더그 왓킨스 EAAFP 사무국 대표가 울산광역시의 송철호 시장에게 태화강 FNS 등재 인증서를 건네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울산광역시의 송철호 시장은 태화강 회복을 위한 울산시민과 EAAFP 사무국, 그리고 참여 기업들의 노력에 감사하며 태화강의 FNS 지정을 위해 지난 8년간 수고한 모두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다양한 철새들이 이 지역에 머무는 것에 대한 생태학적 의미를 강조하며 시민과 기업, 그리고 울산시 모두 함께 자연환경과 서식지 보호에 앞장서기를 격려했다. 

EAAFP 사무국의 더그 왓킨스 대표는 축사에서 태화강의 150번째 EAAFP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 등재를 축하하며, 철새와 서식지 보호에 헌신해 준 울산광역시와 참여 기업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는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한 기업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기업들과 추가 협력을 희망하며 EAAFP의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왓킨스 대표는 “울산시와 EAAFP 사무국, 그리고 참여기업 간의 MoU 체결은 책임 있고 협력적인 보존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각 공공, 민간, 비영리 단체의 노력은 태화강의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존으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그 왓킨스 EAAFP 사무국 대표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울산시의회의 박병석 의장 또한 감사의 말을 전달했다. 그는 한때 태화강이 환경 오염의 상징이었던 것을 회상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철새가 다시 날아다니는 태화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긴 여정을 강조했다. 박 의장은 “FNS등재 인증서는 그 모든 노력과 정성에 대한 선물이나 다름없다. 철새가 불러온 선순환의 날갯짓이 울산을 생태 도시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저와 우리 시의회에서도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FNS 등재식에 이어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그리고 5개의 참여기업은 ‘울산형 철새보호 플랫폼 구축 사업’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하였다. 협약식 이후 자리를 옮겨 각 기관들은 울산시청 햇빛광장에서 철새보호 조형물과 동판 제막식을 하였다.

울산시청 햇빛광장에서 철새보호 조형물과 동판 제막식이 진행되고 있다. Credit : Hayoung Son / EAAFP Secretariat

EAAFP 재단은 양해각서의 이행을 위하여 민간기업과의 협력사업을 개발하고 챔피언 프로그램, 민간단체 지원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철새와 서식지를 보호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EAAFP 재단은 EAAFP사무국의 국내외 보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에 설립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EAAFP 사무국, 울산광역시, 그리고 참여기업의 MOU 체결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세요!

↓↓↓

(영문기사)
MOU Signing Ceremony between EAAFP Secretariat and Ulsan Metropolitan City

(Flickr 사진)
Ulsan FNS Designation Ceremony_210513

 

재단법인 EAAFP, 강화도 매화마름논 미꾸라지 방사 행사 참석

이에이에이에프피

관련뉴스

재단법인 EAAFP, 강화도 매화마름논 미꾸라지 방사 행사 참석

※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진행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5월 8일, 재단법인 EAAFP는 한국 내셔널 트러스트와 강화도 시민연대에서 주최하고 강화도 매화마름 군락지에서 진행된 미꾸라지 방사 행사에 참여했다. 본 행사는 재단법인 EAAFP 2020 민간단체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의 일환으로서,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가 후원했다. 이번 미꾸라지 방사 행사에는 지역 학생들과 관련 기관 직원들을 포함하여 약 50명 정도가 참여했다.

미꾸라지 방사 행사의 주목적은 매화마름이 자생하고 있는 친환경 논의 생태계 서비스 가치를 증진하는 것과, 매화마름논에서 서식하는 저어새 등 여름 철새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지역 학생들과 시민들은 미꾸라지를 논에 직접 방사하며 생태계 보전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EAAFP 사무국의 전민종 국장이 행사 참가자들에게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Yunjoo Cho/EAAFP Foundation

본격적인 행사에 앞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이하 EAAFP) 사무국의 전민종 국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본 행사가 진행된 것에 대한 감사말씀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이어졌으며, 덧붙여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EAAFP의 활동들을 소개했다.

강화도 시민연대 오교창 대표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 Yunjoo Cho/EAAFP Foundation

이어서 강화도 시민연대 오교창 대표가 축사를 전했다. 오 대표는 저어새와 같은 멸종위기종을 지키기 위한 행사가 열린 것에 대한 기쁜 마음을 전했다.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강화매화마름위원회에서 이수근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옹진지사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있다. © Yunjoo Cho/EAAFP Foundation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강화매화마름위원회에서 이수근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옹진지사장에게 생태보전에 기여한 감사의 뜻을 담아 감사패를 전달하는 수여식이 이어졌다.

매화마름논 미꾸라지 방사 행사의 단체사진 © EAAFP Foundation

개회식을 마친 뒤 주최기관은 정부의 코로나19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며 각 참가자에게 미꾸라지를 나누어 주었다. 미꾸라지를 받은 참가자들은 매화마름논으로 이동하여 직접 방사하였다. 미꾸라지를 방사하는 주목적은, 미꾸라지가 논 인근에 서식하는 저어새의 먹이이기 때문이다. 주최 측에 의하면, 미꾸라지는 외래종이 아닌 국내에 서식하는 종이다. 물새들의 주요 먹이 중 하나로, 논의 유해한 곤충들을 제거함으로써 생물다양성 개선에 크게 기여한다.

미꾸라지를 매화마름논에 방사하는 모습 © You Jin Lee /EAAFP Foundation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박도훈 팀장은 강화도 매화마름논의 역사와 매화마름논이 저어새에게 중요한 서식지인 이유를 설명했다. 매화마름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1998년 강화도에서 발견되었으며, 시민들의 노력으로 2008년 람사르 습지에 등재되었다. 한국 농어촌공사가 논 인근에 저수지를 만든 이후, 지속적인 물 공급을 통해 논에 서식하고 있는 매화마름을 보존하고 있다.

논에 핀 매화마름꽃 © You Jin Lee /EAAFP Foundation

매화마름논에는 매화마름꽃이 개화하기 시작했다. 씨앗이 떨어지면 6월에 논이 흰 꽃으로 덮일 예정이지만, 물의 온도가 섭씨 20도를 넘으면 안 된다고 박도훈 팀장은 전했다.

화문석체험을 하는 모습 © Yunjoo Cho /EAAFP Foundation

행사를 마무리한 후, 모든 참가자는 화문석체험학습장에 모여 교육용 영상을 시청하며 강화도 전통 화문석을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서 재단법인 EAAFP의 강화도 매화마름논 미꾸라지 방사 행사에 대한 영문기사를 읽어보세요!
↓↓
(영문기사)
Loach Releasing Event in Maehwamareum Paddy Fields at Ganghwa Island, Ro Korea – Eaaflyway

 

«   ||   »

넓적부리도요 Spoon-billed Sandpiper

철새이동경로에 찾아오는 주요 철새 종 및 관련 태스크포스 & 워킹그룹

ⓒ Eugene Cheah

넓적부리도요 Spoon-billed Sandpiper

IUCN 적색목록 : 위급, CR
주요 서식지 : 러시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태국

넓적부리도요는 스푸니(Spoony)라고 불립니다. 약 400여 마리밖에 남아있지 않은 가장 위협받는 철새들 중 하나입니다. 독특한 숟가락 모양의 부리를 가지고 있는 이 새는 참새 크기 정도의 섭금류에 속합니다. 넓적부리도요는 러시아에서 번식하며, 월동지역인 방글라데시, 태국, 미얀마에 도착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일본, 중국 본토, 홍콩, 대만 및 베트남을 통해 서부 태평양 연안을 따라 이동합니다. 넓적부리도요를 위협하는 주요 요소들로는 산업 개발, 간척사업, 오염, 생태계 교란 외래종 식물 및 밀렵 등이 있습니다.

넓적부리도요 태스크포스 Spoon-billed Sandpiper Task Force

의장 : Evgeny Syroyechkovsky / ees_jr@yahoo.co.uk
코디네이터 : Christoph Zöckler/ christoph.zoeckler@m-h-s.org
홈페이지 : https://www.eaaflyway.net/spoon-billed-sandpiper-task-force/

#23 마이포 습지 [EAAF 003]

이에이에이에프피

철새 서식지 이야기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23″_ 마이포 습지, 중국 [EAAF 003]

여러분 안녕하세요~! 어느새 화창한 5월이 되었습니다. 🌈

파릇파릇한 봄날, 모두들 건강하게 지내고 계신가요? 🌼

이번에도 어김없이 철새 서식지 이야기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홍콩에 위치한 마이포 습지인데요, 마이포 습지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떤 종류의 철새가 서식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   ||   »

#22 총밍동탄 자연보호구역 [EAAF 002]

이에이에이에프피

철새 서식지 이야기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22″_ 총밍동탄 자연보호구역, 중국 [EAAF 002]

안녕하세요! 2021년 4월도 벌써 막바지에 다다라, 따뜻한 봄기운을 물씬 느끼는 요즘입니다. 🌹

오늘은 철새 서식지 이야기 22편, 중국의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를 이어서 소개해 드립니다. 🦆

이번에 소개해드릴 서식지는 중국의 총밍동탄 자연보호구역입니다. 함께 확인해 볼까요?

«   ||   »

#21 싱카이호 자연보호구역 [EAAF 026]

이에이에이에프피

철새 서식지 이야기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21 – 해외편(중국)”_싱카이호 자연보호구역 [EAAF 026]

안녕하세요! 봄기운이 완연한 4월입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철새서식지 이야기를 전달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오늘은 호주의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에 뒤이어 중국의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중국의 싱카이호 자연보호구역을 소개합니다. 함께 확인해 보시죠!

«   ||   »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 업무협약 체결하다

이에이에이에프피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 업무협약 체결하다

업무협약식이 끝난 후 재단법인 EAAFP 직원들과 연수문화재단 직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Credit : Yunjoo Cho / EAAFP Foundation

2021331,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이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내 철새와 철새의 서식지의 중요성을 문화예술을 통해 홍보하고자 양해각서 체결식을 진행했다. 양해각서 체결식은 송도 G타워 보드룸에서 연수문화재단의 대표 및 직원들과 재단법인 EAAFP의 직원들과 함께 진행되었다. 본 행사는 정부의 코로나19의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진행되었다.

더그 왓킨스 재단법인 EAAFP 대표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Credit : Yunjoo Cho / EAAFP Foundation

EAAFP 사무국과 재단법인 EAAFP의 더그 왓킨스 대표는 연수문화재단에 환경보전 활동에 문화예술을 접목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활동을 확산시키는 일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이어 개별 주체보다 여러 주체 간의 협력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이 여정의 핵심은 파트너십입니다. 어떤 보전 행동도 개별 주체에 의해 행해질 수 없습니다. 각 기관마다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기에 서로 다른 기관들 간의 협력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오늘 양해각서 체결식은 환경을 보전하는 기관들과 예술계 모두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할 것입니다.” 라고 전했다.

박영정 연수문화재단 대표이사가 축사를 전하고 있다. Credit : Yunjoo Cho / EAAFP Foundation

연수문화재단의 박영정 대표이사는 재단법인 EAAFP와의 양해각서 체결이 202012월 열린 공동 역량개발 세미나이후 두 재단 간 관계가 거듭 발전하여 이루어진 결과로,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전했다. 해당 세미나는 두 재단이 서로의 강점과 비전을 이해하게 해주었으며, 직원들의 역량을 쌓게 해주었고, 철새와 서식지의 보전을 포함한 예술과 문화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게 해주었다.

 

양해각서 체결의 목적은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의 협력관계를 지속하고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2021년 세계 철새의 날을 기념하여 온라인 생태문화예술 토크영상공동 제작을 시작으로 두 기관의 협력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젝트는 EAAFP 재단이 연수문화재단과 맺는 2021년 협력사업 중 하나로, 철새와 습지, 사람, 그리고 문화예술에 대한 교육용, 홍보용 영상을 중점으로 제작할 예정이다. 추후에도 보다 많은 협력사업이 구축될 전망이다.

이상은 시인의 시 낭독 영상을 재생하고 있다. Credit : Yunjoo Cho / EAAFP Foundation

본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연수구 주민인 이상은 시인의 송도어촌계에 대한 스토리텔링 영상을 함께 시청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연수문화재단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우리 동네 예술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영상에서 이상은 작가는 송도갯벌에 대한 생각과, 매립된 송도 땅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송도의 생태자원과 공존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할머니와 손자의 대화로 풀어쓴 시를 읽었다.

 

재단법인 EAAFP는 연수문화재단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앞으로 연수문화재단과 공동으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홍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를 고대한다.

아래 링크에서 재단법인 EAAFP와 연수문화재단의 MOU 체결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세요!

 

 

(영문기사)

MOU Signing Ceremony between EAAFP Foundation and Yeonsu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 Eaaflyway

 

 

(외부 기사)

연수문화재단-EAAFP 철새 보호 협력 – 인천일보 (incheonilbo.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