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

저어새와 친구들 2023 첫 저어새 맞이 활동 안내

저어새와 친구들 2023 첫 저어새 맞이 활동 안내

2월 18일 토요일과 2월 26일 일요일, 저어새와 친구들에서 봄에 찾아올 저어새를 맞이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저어새와 친구들은 재단법인EAAFP 민간단체 지원사업의 수혜 단체이며 조류생태환경교육, 이동물새모니터링 등 시민참여형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저어새 맞이 행사는 2월 18일 토요일 남동유수지 주변 환경 정화 활동, 2월 26일 일요일 저어새 둥지 정비활동으로 멸종위기종 저어새의 서식지 보전에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번식을 위해 돌아오는 저어새를 위해 서식지 단장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관련 문의: 저어새 생태학습관 (032-818-3255)

«   ||   »

#67 고창갯벌 [EAAF 153]

EAAFP가 들려주는 철새 서식지 이야기 #67
[EAAF 153] 고창갯벌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2년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사이트로 등재된 고창갯벌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어떤 곳인지 알아볼까요?

EAAFP가 들려주는 철새서식지 이야기 #67
고창갯벌
대한민국
EAAF153

고창갯벌은 황해안의 남쪽에 있습니다. 총면적은 5,531헥타르이며, 옆으로 누워있는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보입니다.

고창갯벌은 염습지, 펄갯벌, 모래갯벌, 암반 기질로 이루어진 독특한 생태계입니다. IUCN 적색 목록에서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20종의 이동성 물새가 이곳을 방문합니다. 고창 갯벌은 람사르 습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입니다.

매년 20,000개체 이상의 이동성 물새가 고창갯벌을 정기적으로 찾아옵니다. 이곳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에는 멸종위기종인 알락꼬리마도요(위기, EN), 붉은어깨도요(위기, EN) 및 최근 기록된 뿔제비갈매기(위급, CR)도 있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습지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EAAFP이웃추가
SNS @eaafp 팔로우
«   ||   »

2023 새해 맞이 달력 이벤트 성황리에 마감되다

2023 새해 맞이 달력 이벤트 성황리에 마감되다

재단법인 EAAFP가 2023년 새해를 맞아 1월 1일부터 진행한 달력 이벤트가 마무리되었다. 이동성 물새와 그들의 서식지 보전을 위한 후원자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2월 15일로 예정된 이벤트 마감일은 2월 9일자로 물품이 소진되어 조기 마감되었다.

2022년 EAAFP 제비갈매기의 해 사진대회에 당선작을 담은 달력과 달력에 중요한 날짜를 표시할 수 있는 원형 스티커, 그립톡, 철새 스티커와 EAAFP 홍보인쇄물로 구성된 이벤트 물품은 해당 이벤트에 참여한 재단법인EAAFP의 후원자들에게 전달되었다. 이벤트에는 총 16명의 새로운 후원자들이 참여하였으며, 후원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23년부터 다양한 후원자 참여 프로그램을 계획 중이다.

한편 후원 이벤트 외에 진행된 새해 다짐 이벤트에는 총 3명의 참여자가 새해 철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포부를 개인 소셜미디어 채널에 공유하여 달력을 수령하였다.

앞으로 재단법인EAAFP는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해 세계철새의 날 후원캠페인과 후원의 밤과 같은 다양한 후원자 대상 행사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이동성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해 EAAFP와 함께해주세요!

«   ||   »

2023 세계 습지의 날, 습지복원을 위한 EAAFP의 향후 계획

관련뉴스

2023 세계습지의 날, 습지복원을 위한 EAAFP의 향후 계획

세계 습지의 날은 습지의 중요성에 대한 세계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 1971년 이란 람사르에서 습지에 관한 람사르 협약이 채택된 날짜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2월 2일에 기념된다. 습지협약 사무국이 소집한 올해 주제는 ‘습지복원의 시기’로 습지복구 우선순위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퇴화한 습지를 되살리고 복원하기 위한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지구 육지 면적의 6%만 차지하는 습지는 모든 생명체에게 필수적이지만 숲보다 3배나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세계 습지의 35% 이상이 지난 50년 동안 유실되거나 퇴화되었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 Flyway)에서는 습지의 약 45%가 유실되었고, 심지어 황해에서는 갯벌의 최대 65%가 유실되었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는210종 이상의 5천만 마리의 철새들의 서식지이다. 습지의 감소는 많은 습지 의존성과 수생종을 멸종 위기로 내몰고 있으며,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는 세계의 모든 철새이동경로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철새 종의 비율이 가장 높다.

 

습지는 물을 정화하며, 홍수, 폭풍, 침식 등에 피해를 줄여주고, 농업과 양식을 통한 식량 제공한다. 또한, 수십억 명의 생계, 일자리, 경제 지원 등의 역할을 하는 만큼 습지 보전은 우리 인간에게도 중요하다. 습지의 감소와 퇴화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조치가 필수적이다.

 

글로벌 차원에서는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COP15)에서 새롭게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가 모든 차원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를 향해 인도하고 있다. 또한, 람사르 협약 (COP14)는 습지 보존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EAAFP철새이동경로 서식지는 152개의 서식지로 확장되고 있으며, 철새를 위한 중요한 습지를 포함하고 있다. EAAFP 파트너, 현장 관리자 및 워킹 그룹 및 태스크 포스의 전문가는 관련 정책 및 구현, 현장 관리, 모니터링 및 연구 및 CEPA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역 철새이동경로 이니셔티브(Regional Flyway Initiative, RFI) 는 아시아개발은행,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과 공동으로 대규모 자금을 동원해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상의 습지 보호, 유지 및 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2023년 3월 12일부터 17일까지 호주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에서 개최될 예정인 EAAFP의 제11차 파트너 회의에서 파트너와 협력자들은 철새이동경로 상의 위협에 대처하고 습지를 복원하며, 보존 노력을 강화하고, 협업을 촉진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세계습지의 날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에 이동성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추가 후원금 4,600만원 전달

관련뉴스

한국남동발전(주) 영흥발전본부,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에 이동성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추가 후원금 4,600만원 전달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지난 2월 1일,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는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가 이동성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후원금 4,600만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EAAFP)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전반의 이동성 물새와 그 서식지를 보전하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 2019년 설립되었다.

한국남동발전은 EAAFP와 지난 2018년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인천지역의 철새와 서식지 보전활동을 후원하였다. 이후 2021년 EAAFP사무국,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인천광역시 삼자 간의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철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와 재정적 지원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번에 기탁한 후원금은 기존 양해각서를 통해 기부되는 후원금이 아닌, 사랑의열매를 통한 지정기탁금으로 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에 전달되었다.

©사랑의열매

해당 지정기탁금은 18개의 정부파트너, 6개의 정부간 국제기구 파트너, 13개의 국제 NGO파트너와 1개의 국제기구 파트너, 1개의 다국적 기업부문 파트너가 모여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하는EAAFP 파트너십 총회와 국내외 후원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인식증진 사업, 국내 민간단체의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활동을 지원하는 민간단체지원사업 등에 쓰일 예정이다.

EAAFP 2002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WSSD) 발의안 목록에 채택된 자발적이고 비형식적인 국제기구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전반의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2006 11 설립되었다. 현재 EAAFP에는 18개의 정부 파트너, 6개의 정부 국제기구 파트너, 13개의 국제 NGO 파트너, 1개의 국제기구 파트너, 그리고 1개의 다국적 기업 부문 파트너로 39개의 파트너로 구성되어 있다.

(사)에코코리아 2023 세계습지의날 행사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는 개리를 찾습니다”

(사)에코코리아 2023 세계습지의날 행사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는 개리를 찾습니다"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는 개리를 찾습니다

세계습지의날을 기념하여 (사)에코코리아에서 개리 모니터링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멸종위기종 2급, IUCN VU 종인 개리를 모니터링하며 습지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는

뜻깊은 2023 세계습지의날을 보내보세요

«   ||   »

재단법인 EAAFP,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여름사업 결과보고 워크숍 개최하다

재단법인 EAAFP,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여름사업 결과보고 워크숍 개최하다

지난 1월 27일, 재단법인 EAAFP는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여름사업 결과보고 워크숍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한스자이델 재단, 인천광역시의 후원으로 진행된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은 겨울사업, 여름사업으로 나뉘어 이뤄졌다. 지난 5월에 진행한 겨울사업 결과보고 워크숍에 이어 이번 여름사업 결과보고 워크숍에는 수혜단체들이 사업 결과를 보고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참가자들과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자세히 보기>

본 워크숍에는 수혜단체인 인천녹색연합과 저어새와 친구들의 사업담당자, 한국남동발전영흥발전본부, 한스자이델 재단, 인천광역시 관계자와 EAAFP 사무국과 재단법인 EAAFP 직원들과 더불어WWF Korea, YBM 등 유관기관의 관계자와 재단 후원자 등 총 39명이 사전등록을 통해 참석하였다.

워크숍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EAAFP 사무국 대표이자 재단법인 EAAFP의 이사장인 더그 왓킨스의 개회사가 있었다. 그는 “이번 워크숍이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활동에 대한 불씨를 지피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라며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전에 대한 인식증진과 모니터링 등의 활동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필요성과 이를 실행하는 민간단체 지원사업의 지속성을 강조했다.

뒤이어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녹색환경부 환경관리파트 최연희 차장의 축사가 있었다. “EAAFP의 민간단체지원사업을 통해 철새와 인간이 함께 행복해질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이를 위해 가능한 활동들을 지속할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 다음으로는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의 대표 베른하르트 젤리거 박사가 축사 영상으로 두 개의 여름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축하하며 인식증진, 모니터링 사업이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상의 철새와 철새서식지를 보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 환경기후정책과 환경평가생태담당 박성현 팀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인천은 새들의 고향임을 언급하며 인천광역시도 시민 인식증진 포함한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인천을 오가는 철새의 보전에 적극적으로 힘쓰겠다는 포부를 전하였다.

인천녹색연합 발표자료 ©인천녹색연합

사업집행기관의 지원사업 결과보고는 가장 먼저 인천녹색연합 박정운 단장의 “멸종위기 1급 저어새의 백령도 번식 및 서식 현황 청소년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결과보고로 시작되었다. 2020년 재단법인 EAAFP에서 진행한 “백령도 지역 이동물새류에 대한 대중인식 증진 활동”을 이은 후속사업으로 백령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저어새 생태교실과 저어새 모니터링 활동 및 모니터링 보고서 제작을 하며 지역 청소년의 습지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저어새와 친구들 발표자료 ©저어새와 친구들

마지막으로 저어새와 친구들의 김미은 사무국장의 “애들아, 아빠(엄마) 일터에는 저어새가 산다!“ 사업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송도갯벌과 남동유수지에 근접한 남동산업단지의 근로자들과 가족들의 시민의식을 증진하기 위해 추진된 해당 사업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이뤄진 탐조가족체험을 실행하며 가족참가자들에게 지역 습지생태계의 가치와 소중함을 알렸다.

결과보고가 끝난 후, 재단법인 EAAFP의 이지선 재단 코디네이터는 2022-2023 민간단체 지원사업에 대해 안내하였다. 총 8개소가 참여하는 해당 지원사업의 워크숍은 2024년 1월 오프라인으로 송도G타워에서 겨울, 여름사업 공동 워크숍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2023-2024 민간단체 지원사업을 소개하였다. 해당 사업은 6월부터 접수를 시작하여 9월에 심사 결과를 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총 1시간 동안 진행된 워크숍은 이동성물새 보전에 대한 협력을 강조하는 EAAFP 사무국 전민종 국장의 폐회사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여름사업의 종합 최종보고서는 편집과정을 거쳐 추후 재단법인 EAAFP 웹사이트에 업로드 될 예정이다.

2021-2022 민간단체 지원사업 여름사업 결과보고 워크숍 단체사진 ©재단법인EAAFP
«   ||   »

EAAFP 사무국, 람사르 COP14 -사람과 자연을 위한 습지 활동 에 참여하다

관련뉴스

EAAFP 사무국, 람사르 COP14-사람과 자연을 위한 습지 활동 참여하다

람사르 협약 ©비비안푸/EAAFP

14 람사르협약 체결당사자총회(람사르 COP14) 2022 11 5일부터 13일까지 중국 우한과 스위스 제네바에서사람과 자연을 위한 습지 활동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회의에는 146 당사국과 55 조직의 대표들이 현장과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8일간의 회의는 청소년, 토착민, 지역 사회를 포함하여 작업 범위와 다양성이 확대된 습지 보존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채택된 21개의 결의안으로 마무리되었다. 람사르 지역 이니셔티브 하나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많은 EAAFP 파트너와 함께 COP14 가입했다.

 

COP14 공식 회의 보고서 다운로드

COP14 결과 주요 내용

우한 선언

11 5 개회식 , 11 6 우한에서 고위급 회의가 소집되었으며, 24명의 장관과 대사의 습지 보존 노력에 대한 업적과 성과를 집중 조명했다. 회의는 우한 선언(다운로드) 통과되며 막을 내렸다. 채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계적으로 습지 손실을 막고 되돌리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고 긴급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협약의 4 전략 계획 이행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자원을 동원해야 한다.

      협약과 조화를 이루는 습지 보존, 복원, 관리 현명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에 대한 입법 이행을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확립된 람사르 지역 이니셔티브(RRI), STRP, 협약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참여, 역량 구축 인식 프로그램(CEPA) 다자간 환경 협정(MEAs) 관련 기타 보조 과학 기구를 통해 세계 습지 보전 실무자들 간의 기술 협력 지식 공유를 강화해야 한다.

 

선언은 기후 변화의 가장 완화 요인 하나로서 습지 손실을 중단하고 되돌려야 하는 시급함과 이것이 기후 변화 적응, 생물다양성 보호 지속 가능한 개발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정하면서 다음 날의 협상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람사르협약 사무총장 무손다 뭄바(Musonda Mumba) 박사 ©비비안 푸/EAAFP
물새와 습지 트러스(WWT) 대표 사라 파울러(Sarah Fowler), ©비비안 푸/EAAFP

결의안

24개의 결의안 초안이 고려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1개의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포함된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재정 예산 문제에 대한 결의 (COP14 Doc.18.1 Rev.1)

4 전략계획 5 전략계획의 핵심요소 검토(COP14 Doc.18.4 Rev.1)

람사르 지역 이니셔티브 결의 운영 지침(COP14 Doc.18.9 Rev.2)

새로운 CEPA 접근법에 대한 결의안(COP14 Doc.18.10 Rev.3)

정규 교육 분야의 습지 교육에 관한 결의안(COP14 Doc.18.13 Rev.1)

청소년을 통한 람사르 연대 강화 결의(COP14 Doc.18.14 Rev.1)

람사르 기준 검토 람사르습지 폐지(COP14 Doc.18.16 Rev.1)

신규 기존 람사르습지 지정을 지원하기 위한 물새 개체수 추정(COP14 Doc.18.21 Rev.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습지생태계의 보호, 보존, 복원, 지속가능한 이용 관리(COP14 Doc.18.20 Rev.3)

청소년 참여에 대한 결의안 초안을 제시하는 호주 정부의 첫 번째 청소년 람사르 대표인 딜런 존스(Dylan Jones) ©비비안 푸 /EAAFP

EAAFP 파트너 사무국 람사르 COP14참여

많은 EAAFP 파트너는 람사르 협약의 계약 당사자 또는 국제기구 파트너(IOP). 다양한 주제 그룹에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결의안 초안에 대한 의견을 제안하고 제공했으며 부스 운영 35 이상의 부대 행사를 조직하고 참여했다 (자세히 보기).

COP14 이전에 대표단, 특히 청소년, 소규모 CSO NGO, 람사르 COP14 새로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개의 사전 COP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되었다. 하나는 청소년과 시민사회단체 (10 25일과 11 1)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세계습지센터네트워크(Wetland Link International) 람사르 CEPA 프로그램(10 25일과 26) 초점을 맞췄다 (자세히 보기).

 

부대 행사 스포트라이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지역 철새이동경로 이니셔티브(RFI) 확대

 

지역 철새이동경로 이니셔티브 파트너십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 아시아개발은행(ADB) 2022 11 8 COP에서 부대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RFI RFI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습지 이용에 대한 기여에 국가의 관심을 끌었다. 즈엉 타잉(Duong Thanh 베트남 자연 생물다양성 보전 기관 국장과 앤슨 태그태그(Anson Tagtag) 필리핀 람사르 대표는 RFI 국가 생물다양성 의제 정책에 기여하고 습지에 의존하는 지역사회의 삶을 향상시키는 어떻게 기여할 있는지에 대해 발표했다. 부대행사에는 람사르협약 사무국의 유범식, 국제습지연합(Wetlands International) 워드 하게마이어(Ward Hagemeijer), ADB 워렌 에반스(Warren Evans) 성명도 포함되었다.

©비비안 푸/EAAFP

인도버마 습지 전망(Indo-Burma Wetland Outlook) 발표: 인도버마 람사르 지역 이니셔티브를 통한 협력 강화를 위한 주요 권장 사항

 

IBRRI(Indo-Burma Ramsar Regional Initiative) IUCN 아시아의 지원을 받아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의 람사르 계약 당사자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11 9, IBRRI 전략 계획(2019-2024) 일환으로 인도버마 습지 전망을 시작하기 위한 부대 행사가 열렸다. 세션은 IUCN 아시아가 초청한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RRCEA) 서응오 센터장, 아세안생물다양성센터(ACB) 메리 크리스터리 A. 발레바(Mary Kristerie A. Baleva) 박사, 물새와 습지 트러스트(WWT) 토모스 아벤트(Tomos Avent),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 (Ding Li Yong) 박사와  EAAFP 더그 왓킨스(Doug Watkins)대표와의 토론을 통해 습지 전망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고 권장 조치를 이행하기 위한 계획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비비안 푸/EAAFP

황해 조간대 습지에 대한 2022 IUCN 상황 분석 개시(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황해는 중화인민공화국(PRC),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 대한민국(RoK)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조간대 지역을 대표하며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이동성 물새에게 가장 중요한 기착지이다.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IUCN 회원들은 2022년에 2012 상황 분석을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지원 IUCN EAAFP사무국의 진행으로 개최된 부대 행사는 11 7 열렸으며 3개의 랍사르 체약국, 황해 지역의 전문가 파트너가 업데이트된 보고서의 주요 결과와 접경 협력에 초점을 맞춘 조간대 습지의 보전 관리 측면에서 의미를 고려할 기회를 제공했다.

 

습지의 미래세대 대화

 

11 12, 습지에서 일하는 청소년들이 경험 많은 습지 전문가들과 교류할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청년습지참여(Youth Engaged in Wetlands) 주최하는 세대 대화가 열렸다. 개회사는 람사르협약 사무국 사무총장 무손다 뭄바(Musonda Mumba) 박사, 과학 기술 검토 패널 의장인 레이 광춘(Lei Guangchun) 교수, 더그 왓킨스 대표가 맡았다. 세션은 젊은 전문가 맹그로브 재단(Mangrove Foundation), 아세안생물다양성센터(ACB), IUCN, 청년습지참여(Youth Engaged in Wetlands), 국제습지연합(Wetlands International), WWT 세계습지네트워크(World Wetlands Network) 전문가들과의 세대 대화로 이어졌다.

©비비안 푸/EAAFP

기타 주요내용

람사르 COP 14에서 EAAFP 네트워킹 만찬

 

람사르 COP14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제한으로 인해 직접 회의를 진행할 없었던 EAAFP 파트너가 만나 대화를 나눌 있는 좋은 기회였다. 2022 11 6 EAAFP 사무국은 기회를 활용하여 제네바에서 네트워킹 만찬을 주최하여 파트너 간의 연결을 강화했다.

© EAAFP

본회의 전에 매일 아침 지역 회의가 있었다. 2022 11 10, EAAFP 대표이자 람사르협약 사무국의 아시아ㆍ오세아니아 지역 선임 고문이었던 () (Lew Young) 박사를 기리는 추모 세션이 열렸다. 람사르협약 사무총장인 무손다 뭄바(Musonda Mumba) 박사도 박사에게 경의를 표했다.

© 도혜선/EAAFP

EAAFP 사무국 파트너는 람사르 COP14 기간 동안 대표단과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부스를 운영했다.

© EAAFP

 청소년은 습지 보전의 주요 이해관계자이며 많은 청소년들이 습지 보전을 위한 행동을 취하고 있다. 세계자연보호기금(WWF) 홍콩지부와 EAAFP 사무국은 5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는 람사르 COP14 기간 동안 모든 청소년 참가자가 자신의 작업을 선보이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세계에서 서로 교류할 있도록 가상 이벤트람사르 COP14메타버스에서의 젊은 습지 대화 만들었다 (자세히 보기).

©WWF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