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이에이에이에프피

방푸 자연교육센터(BNEC, EAAF157), 태국 네 번째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로 지정

관련뉴스

방푸 자연교육센터(BNEC, EAAF157), 태국 네 번째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로 지정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EAAFP 사무국은 태국 사뭇프라칸 주에 위치한 방푸 자연교육센터(BNEC)가 태국의 네 번째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서식지(Flyway Network Site)로 공식 지정되었음을 발표했다. 이번 지정은 2025년 3월 28일에 이루어졌으며, BNEC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 전역의 보전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BNEC는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 Brown-headed Gull(Chroicocephalus brunnicephalus),흑꼬리도요(Limosa limosa), Tibetan sand plover (Charadrius atrifrons) 등 주요 종을 비롯해, 흰따오기황새(Mycteria cinerea), 알락꼬리마도요(Numenius madagascariensis), 청다리도요사촌(Tringa guttifer) 같은 세계적으로 위협받는 종들도 찾아오는 곳이다.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BNEC는 태국 내만 지역 북동부에 위치하며, 맹그로브 숲과 광활한 갯벌 등 다양한 생태계를 품고 있다. 이곳은 560종 이상의 동물과 22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방푸 조류 및 생물다양성 지역(Bangpu Bird and Biodiversity Area)’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로부터 ‘중요 조류 및 생물다양성 지역(IBA, Important Bird and Biodiversity Area)’으로 지정되었으며, 2000년 8월 태국 내각 결의로 국가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인정받았다. 2024년 12월에는 63번째 아세안 헤리티지 파크 (ASEAN Heritage Park)으로 선정되며 국제적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BNEC는 국립공원·야생동식물보전국(Department of National Parks, Wildlife, and Plant Conservation)과 태국조류보전협회(Bird Conservation Society of Thailand)와 협력해 철새 개체 수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철새 이동 현황에 대한 핵심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마히돌 대학교(Mahidol University)와 함께 조류 인플루엔자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조기 감지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BNEC는 자연환경 보전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에게 자연과 소통하고 보전의 중요성을 배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과 일반 방문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환경교육 프로그램과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세계 습지의 날(World Wetlands Day)’과 ‘방푸 빅 버드 데이(Bangpu Big Bird Day)’ 등 연례 행사를 통해 습지 생태계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 또한 나무 심기, 야생동물 방사, 해양 쓰레기 수거 활동 등 실천 중심의 보전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BNEC의 습지는 지역사회의 생계를 지원하는 상업적 어업과 생태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하며, 환경과 경제의 지속 가능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 태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재단

방푸 자연교육센터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철새 서식지 네트워크에 합류함에 따라,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은 전문가, 청년, 지역사회 기반 조직, 지역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교육, 오락, 지속 가능한 생계 창출의 기회를 마련하고, 철새와 그 서식지의 장기적 보호를 도모할 계획이다.

 

원문기사: https://eaaflyway.net/welcoming-bangpu-nature-education-center-eaaf157-as-thailands-4th-flyway-network-site/

방푸 자연교육센터(EAAF157) 정보 안내: https://eaaflyway.net/wp-content/uploads/2025/03/SIS-Bangpu-Nature-Education-Center-clean.pdf 

사진 더보기: https://flic.kr/s/aHBqjC6zPd   

2025년 세계 철새의 날 캠페인 가이드북

관련뉴스

2025년 세계 철새의 날 캠페인 가이드북

2025년 세계 철새의 날 글로벌 캠페인 가이드북이 공개되었습니다!

올해의 주제인 “공존의 장: 철새와 함께하는 도시와 지역사회 만들기” 와 연계된 다양한 자료와 실용적인 팁이 담긴 가이드북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번 #WMBD2025 캠페인에 참여하고 싶다면, 이 가이드북이 가장 완벽한 도우미가 되어줄 것입니다.

세계 철새의 날에 함께해 주세요! #ForNature 해시태그와 함께 전 세계와 뜻을 모아 도시 환경을 철새에게 더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여정에 동참해보세요.

이번 가이드북은 EAA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CMS(이동성야생동물보호협약), AEWA(아프리카-유라시아 물새 협정), 그리고 미주 환경 협회(EFTA)의 협력으로 공동 개발되었습니다.

가이드북 다운받기: WMBD_2025_Campaign_Toolkit_Korean ver.(FINAL)

FAO/EMPRES-AH의 조류 인플루엔자 상황 보고 (2024년 12월 – 2025년 3월)

관련뉴스

FAO/EMPRES-AH의 조류 인플루엔자 상황 보고 (2024년 12월 - 2025년 3월)

FAO/ EMPRES-AH의 조류 인플루엔자 상황 업데이트 (2024년 12월 – 2025년 3월)

면책사항: 본 보고서의 지도에 표기된 국가, 지역, 도시 또는 지역의 경계와 명칭, 그리고 그에 따른 지정은 해당 국가나 지역의 법적 지위 또는 권한에 관한 FAO의 어떠한 의견이나 입장도 반영하지 않습니다. 지도상의 점선은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대략적인 국경선을 나타냅니다. 점으로 표시된 선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합의한 잠무카슈미르의 통제선(Line of Control)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잠무카슈미르의 최종 지위는 아직 양국 간에 합의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United Nations Geospatial. 2020. Map of the World. (2025년 3월 인용). EMPRES-I (세계동물질병정보시스템),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각국 자료 (2025)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FAO/EMPRES-Animal Health

FAO 산하 EMPRES-Animal Health는 전 세계의 조류인플루엔자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여러 국가 및 국제 기관에서 수집된 정보와 동료 심사를 거친 과학적 논문을 바탕으로 정보를 종합하고 있습니다. 각 국가 및 지역 사무소와의 긴밀한 협력, 조류인플루엔자 현장 감시 프로젝트 수행, 그리고 WOAH/FAO의 전문가 네트워크인 OFFLU(www.offlu.org)와의 협력을 통해 돌발 상황 발생, 감시 결과 및 유행 중인 바이러스의 유전자적 유사성 및 바이러스학적 특성 등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EMPRES 글로벌 동물 질병 정보 시스템(EMPRES-i)에 저장되며, 이는 온라인(https://empres-i.apps.fao.org/)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번 보고 기간 중 중국은 대만 지역에서 닭과 거위 같은 가금류에 영향을 미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 22건을 보고했습니다. 또한 야생 조류 중 저어새(Platalea minor)에서 2건, 가면올빼미(Tyto longimembris)에서 1건 등 총 3건의 H5N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되었으며, 환경 샘플 검사 결과 H5N1 고병원성 바이러스 및 H7N3, H7N7 저병원성 바이러스도 검출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전 보고 기간과 대비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활동이 증가하여 총 11개 현에서 95건의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중 야생조류에서는 총 45건(39건의 H5N1 및 6건의 H5)이 확인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종으로는 송장까마귀(Corvus corone), 말똥가리(Buteo japonicus), 홍머리오리(Mareca Penelope), 참매(Accipiter gentilis), 흑두루미 (Grus monachal), 큰부리까마귀(Corvus macrorhynchos), 원앙(Aix galericulata), 재두루미(Grus vipio), 큰고니(Cygnus cygnus)를 포함한 여러 종이 있었습니다. 특히 큰부리까마귀가 16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또한 일본은 가금류 농장에서 39건의 H5N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을 보고했으며, 예방적 살처분을 포함하여 약 800만 마리의 가금류가 영향을 받았습니다.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감시 활동을 통해 환경 샘플에서도 8건의 H5N1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추가로 검출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전국 7개 도의 닭과 오리 농장에서 29건의 H5N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을 보고했으며, 예방적 살처분을 포함하여 백만 마리 이상의 가금류가 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야생조류에서도 총 27건의 H5N1 고병원성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며, 큰기러기(Anser fabalis), 흰죽지(Aythya ferin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대백로(Ardea alba), 재갈매기(Larus argentatus),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매(Falco peregrinus), 대머리 독수리(종 미상), 큰고니(Cygnus cygnus)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이 감염되었습니다. 특히 야생조류 감염 사례의 약 3분의 1은 대백로에서 발견되었습니다.

H5 계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는 가금류에서 2건의 H5N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과 야생조류에서 미상으로 분류된 2건의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반텐(Banten) 최서단 지역의 가금류에서 1건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필리핀은 지난해부터 여러 차례의 H5N1 및 H5N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사례를 공식 보고하였으며, 가장 최근 발생은 2024년 11월에 있었습니다. 베트남은 롱안(Long An, 1건), 응에안(Nghe An, 2건), 꽝빈(Quang Binh, 1건), 타인호아(Thanh Hoa, 2건), 띠엔장(Tien Giang, 1건), 뚜옌꽝(Tuyen Quang, 2건) 등 여러 지역에서 총 9건의 H5N1 발생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오세아니아 지역의 호주에서도 빅토리아 북부 지역의 상업 농장들에서 H7N8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4건이 보고되었습니다.

 

한편 중국에서는 충칭시(Chongqing, 1건), 광시 자치구(Guangxi, 1건), 광둥성(Guangdong, 2건), 구이저우성(Guizhou, 1건), 후베이성(Hubei, 1건), 후난성(Hunan, 2건)에서 총 8건의 인체 감염 사례(H9N2 바이러스)를 보고하였으며, 광시 자치구에서는 H10N3 바이러스 인체 감염 사례도 1건 확인되었습니다. 캄보디아에서도 캄퐁참(Kampong Cham)과 프레이벵(Prey Veng) 지역에서 H5N1 바이러스 인체 감염으로 인한 사망 사례 2건이 보고되었습니다.

 

H5N1, H5N2, H5N5, H5N6 및 H5N8 등의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철새를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 입증되었습니다. FAO는 12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이 철새들의 겨울철 이동과 설날과 같은 대규모 명절 전후의 가금류 거래 증가 등으로 인해 이 지역에서의 조류인플루엔자 활동이 최고조에 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몇 개월 동안 가금류 농장 및 야생조류에서의 발생 보고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H5Nx 계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영향을 받은 조류 종 목록은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며, 2021년 이후 새롭게 보고된 조류 종은 주황색으로 강조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세계 철새의 날 소액 기금 지원사업 5월 신청접수

세계 철새의 날 소액 기금 지원사업 5월 신청접수

2025 세계 철새의 날 (World Migratory Bird Day, WMBD) 소액 기금 지원사업 – 5월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다.

올해 세계 철새의 날은 5월 10일과 10월 11일에 “공존의 장: 철새와 함께하는 도시와 지역사회 만들기” 라는 주제로 기념된다.

세계 철새의 날의 일환으로 이동성 물새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일 많은 단체의 참여를 기대한다.

📅 신청마감일: 2025년 4월 7일, 23:59 KST

신청 자세한 내용: https://eaaflyway.net/wmbd-small-grant/

EAAFP WMBD 2025 소액지원금 신청서:  EAAFP-WMBD-Small-Grant-Fund-Application-May-2025

 

습지 보전을 위한 여성 체인지메이커: EAAFP 사무국 제니퍼 조지 대표

습지 보전을 위한 여성 체인지메이커: EAAFP 사무국 제니퍼 조지 대표

  람사르 협약사무국

2025년 3월 8일, 람사르 협약 사무국은 2025년 “세계 습지 분야의 여성 체인지메이커” 목록에 선정된 뛰어난 여성들을 발표했으며, 그 중에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  제니퍼 조지대표도 포함되었다. 이 권위 있는 선정은 습지 보호에 대한 그녀의 뛰어난 기여와, 습지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습지협약의 사명을 향한 변함없는 헌신을 기리기 위함이다.

제니퍼 조지대표는 EAAFP 컨설턴트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최근 채택된 제11차 파트너 회의(MOP11) 결정문 작성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특히, “EAAFP 국가 및 서식지 파트너십 가이드라인”과 “EAAFP 자매 서식지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마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많은 분들이 이러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협의 과정에서 그와 소통했거나, 2023년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MOP11에서 직접 만났을 수도 있습니다. 제니퍼 조지 대표는EAAFP 사무국 및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이러한 중요한 파트너십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EAAFP 파트너 기관 중 하나인 Miranda Naturalists Trust의 활동적인 구성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이동성 물새 보호에 대한 헌신과 열정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EAAFP

“습지를 위한 국제 협력 분야에서의 노력이 ‘습지 보전 여성 체인지메이커’ 캠페인을 통해 인정받게 되어 큰 영광입니다. 저를 지혜와 격려로 이끌어 주신 많은 여성들에게 깊이 감사드리며, 2025년 국제 여성의 날을 맞아 그분들을 함께 기리고 싶습니다. 또한, 람사르 협약이 여성들이 전 세계적으로 습지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입니다. 우리는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습지를 위한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며, 차세대 리더를 성장시켜 나가야 합니다. 함께한다면 장벽을 허물고, 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환경 보전에서 성 평등을 실현하는 것은 오랫동안 이어진 습지협약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2018년, 협약 당사국들은 제13차 총회(Resolution XIII.18)에서 “성 평등과 습지” 결의문을 채택했으며, 이는 여성들이 습지의 관리, 보호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특히, 소외된 지역 사회와 원주민 여성들은 기후 변화, 오염, 서식지 손실과 같은 환경 문제에 맞서 습지 보전의 최전선에서 리더십과 전문성을 발휘해 왔다.

이에 따라, 람사르 협약 사무국은 2024년부터 “세계 습지 분야의 여성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여성 리더뿐만 아니라 청년 및 원주민 리더들도 포함하여, 그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성과를 기리고자 하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람사르 협약은 제니퍼 조지와 같은 선구자들을 조명함으로써 환경 보전 분야에서의 성별 격차를 줄이고, 여성들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인정은 단순히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습지 보전에서의 성 평등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람사르 협약사무국

2025년 세계 습지 분야의 여성 체인지메이커는 습지 보전에 대한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아 람사르 협약 사무국에 의해 선정되었다.  이 목록에는 프란지스카 트라우트만 (Glass Half Full), 아데니케 올라도수 (I Lead Climate Action Initiative), 라우라 곤잘레스 (Marea Verde), 레이첼 드실바 (C.L. Environmental), 로사 잘하 길 (Women United in Defense of Mangroves), 테레사 빈센테 (무르시아 대학교), 리부셰 블라사코바 (체코 환경부), 셀레스트 사울로 (세계기상기구), 줄리 물롱가 (Wetlands International 동아프리카 지부), 그리고 Dr. 제이슈리 벤카테산 (Earth Trust) 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된다.

여성들의 목소리가 더욱 존중받고, 가치 있게 평가되며, 습지 보호를 앞당기는 원동력이 되는 미래를 기대해 본다.

 

원문 기사: https://www.ramsar.org/our-work/activities/gender-wetlands/2025-women-changemakers-world-wetlands

여성 체인지메이커에 대해 더 알아보기: https://www.ramsar.org/our-work/activities/gender-wetlands/meet-inaugural-cohort-women-changemakers-world-wetlands

제니퍼 조지와의 Q&A: https://www.ramsar.org/person/jennifer-george-new-zealand

EAAFP 청년 태스크포스 작품, 습지 생태 예술 국제 비엔날레 전시

EAAFP 청년 태스크포스 작품, 습지 생태 예술 국제 비엔날레 전시

왕팅(Wang Ting)이 설치 작품과 안내판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고, 지역에서 공유된 과일인 스타프루트와 파파야 묘목이 설치 작품 위에 놓여 있다. ⓒ Ting Wang

EAAFP청소년 태스크포스 국가 코디네이터 왕팅 박사(Dr. Ting Wang)가 자신의 생태 예술 설치 작품인Drifting Baskets(떠다니는 바구니)를 중국에서 개최된 제1회 광저우 하이주 습지 생태 예술 국제 비엔날레에서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25년 1월 12일에 개막했으며, 중국 광저우 하이주 국가습지공원에서 1년간 전시될 예정이다.

하이주 습지공원의 높이 솟은 농업 습지림 환경 속 Drifting Baskets(떠다니는 바구니) 예술 설치 작품. ⓒ Ting Wang

왕 박사(Dr. Wang)는 홍콩 중국 대학교에서 박사 펠로우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중국의 습지 거버넌스, 환경 인류학, 정치 생태학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녀의 박사 논문은 중국 타이호(Tai Lake) 유역의 습지공원 관리 및 문화 경관 조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박사 과정 동안, 그녀는 1년간 36개의 습지공원 및 건설현장에서 참여형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중국의 습지와 환경 보전 노력에 대한 그녀의 관찰과 보전 실무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현재 진행 중인 칼럼 “자연을 위한 새로운 기준 (A New Normal for Nature)“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

그녀의 생태 예술 설치 작품은 2025년 1월 초, 광저우 하이주 국가습지공원에서 진행된 12일간의 예술가 연수 프로그램 동안 개발되었다. 이번 연수는 광저우 하이주구 임업 및 습지 관리국과 광둥성 조경학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제 청년 예술가들이 습지공원 반경 5km 내에서 재료를 활용하여 예술 작품을 창작하도록 장려했다.

국가습지공원으로 지정되기 전의 하이주 습지는 하구에서 떠다니는 농지로, 이후 광대한 과수원으로 변화하는 등 중요한 경관 변화를 거쳤다. 현재 이 공원은 도시 개발과 농경지 활용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복잡한 사회·생태적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Drifting Baskets(떠다니는 바구니) 예술 설치 작품 개요. 다양한 높이에 배치된 과일 바구니는 방문객들이 쉬어 갈 수 있는 좌석 역할을 한다. 노란색 바구니는 방문객들이 직접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열린 재배 공간으로 사용되며, 파란색 바구니에는 습지 주변 지역 주민들이 제공한 식물들이 담겨 있다. ⓒ Ting Wang

얽혀 있는 사회·생태적 관계를 인식하며, 왕 박사는 Drifting Baskets(떠다니는 바구니)라는 인터랙티브 대지미술 설치 작품을 제작하여 생태학과 사회의 연결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 작품은 습지공원 인근 샤오저우 마을의 지역 시장에서 수집한 중고 과일 바구니를 재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바구니들은 모듈형 구조로 조립되어, 하이주 지역의 역사적인 떠다니는 농지들을 연상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바구니를 채운 흙은 습지공원 내 복원된 농지에서 가져왔으며, 지역 주민들이 수집한 식물들을 사용했다.

왕팅(Wang Ting)이 습지 근처의 지역 주민으로부터 금귤나무를 받고 있다. ⓒ Ting Wang

작품의 일환으로, 왕 박사는 식물을 기부한 지역 주민들의 초상화, 식물 삽화, 그리고 식물에 얽힌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무 명판에 기록했다. 습지공원을 방문한 사람들은 과일 묘목을 입양하여 바구니에 심고, 습지와의 개인적인 연결을 담은 메시지를 남기며 작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과 이야기의 교류를 통해 Drifting Baskets(떠다니는 바구니)는 지역 사회와 방문객 간의 소통을 촉진하며, 그들의 습지 생태계에 대한 유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손으로 그린 식물 기부자들의 초상화와 식물 삽화가 새겨진 나무 명판. ⓒ Ting Wang

또한, 설치 작품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습지의 생물다양성에 기여하며, 새들에게 대체 가능한 먹이원과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자라는 식물들과 방문객들이 나무 명판에 남긴 메시지가 플라스틱 구조물을 점차 덮어가며, 인공적인 요소와 자연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 개막일에 해당 설치 작품은 많은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며, 그들이 멈춰 서서 작품과 상호작용하도록 유도했다. 어린이들은 이미 과일 묘목을 심기 시작했다. ⓒ Ting Wang

광저우 하이주 국가습지공원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따라 위치한 중국 최대의 도시 중심 습지공원이다. 이 다양한 생태계는 복잡한 강과 높이 솟은 농업 습지림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하며, 200종 이상의 새들과 다양한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하이주 습지 공원은 중국 국가습지공원 선구자 연맹(National Wetland Park Pioneer Alliance)의 창립에 참여한 곳으로, 혁신적인 습지+” 개념을 도입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지속 가능한 습지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개발 모델을 확장하며, 습지 보전의 혜택을 모든 이가 공유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12차 EAAFP 파트너총회 주제 발표: “연결을 엮다: 우리의 철새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이동, 전통 지식, 그리고 혁신을 기념하다”

12차 EAAFP 파트너총회 주제 발표: "연결을 엮다: 우리의 철새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이동, 전통 지식, 그리고 혁신을 기념하다"

EAAFP가 “연결을 엮다: 우리의 철새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이동, 전통 지식, 그리고 혁신을 기념하다” 라는 12번째 파트너총회(MOP12) 주제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제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지역사회, 과학 혁신, 그리고 공유된 전통 지식을 모두 한 데 “엮다”는 정신을 강하게 담고 있습니다.

필리핀의 세 주요 섬 그룹에서 영감을 받은 직조 패턴, 즉 루조의 라밋(Ramit), 비사야스의 하블론(Hablon), 민다나오의 야칸(Yakan)에서 영감을 얻은 로고는 알락꼬리마도요 형태를 띄며, 이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입니다. 필리핀 환경자원부와 EAAFP가 공동 주최하는 MOP12는 파트너, 서식지 관리자, 거버넌스 위원회, 워킹그룹 및 태스크포스를 한데 모아 우리의 공동 성과를 기념하고 파트너십을 위한 미래의 길을 설정합니다. 올해 MOP은 2025년 11월 8일부터 14일까지 필리핀 세부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파트너분들께서는 #WeavingConnectionsforEAAF 해시태그를 통해 MOP12 관련 최신소식을 확인해주세요!

🔗MOP12 정보: https://eaaflyway.net/republic-of-the-philippines-to-host-the-12th-meeting-of-partners-in-november-2025/

오디오 저작권: Xeno-Canto / Alex Thomas와 Lars Edenius; 사진 저작권: Dongpil O와 Senkethya Sar

글로벌 웨이더(Global Wader):  조류 추적 (메타)데이터 통합 커뮤니티 주도 이니셔티브

글로벌 웨이더(Global Wader): 조류 추적 (메타)데이터 통합 커뮤니티 주도 이니셔티브

ⓒ Global Wader

글로벌 웨이더(Global Wader)는International Wader Study Group과 무브뱅크(Movebank)가 협력하여 추진하는 이니셔티브입니다.

최근 추적 기술의 발전 덕분에 새들의 이동 경로와 행동에 대한 이해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각 연구가 끝난 후 많은 추적 데이터가 과학 공동체에 공유되지만, 그 활용 가능성은 개별 연구 프로젝트를 넘어 더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니셔티브의 핵심 목표는 최신 정보가 포함된 접근 가능한 조류 추적 데이터 레지스토리를 유지하고, 최선의 데이터 관리 및 장기 보관방법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트 메타데이터를 카탈로그화함으로써 글로벌웨이더는 과학자, 추적자, 보전 활동가들이 공통의 목표를 가진 연구에서 연결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글로벌 웨이더는 100개 이상의 연구와 5천만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를 지원하고 홍보하는 것부터, 관련 데이터를 가진 데이터 소유자의 연락처를 제공하여 데이터 요청자와 연결하는 등의 협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추적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저장하지 않으며, 이 데이터는 무브뱅크에서 저장해야 한다고 권장합니다. 대신 관련 메타데이터를 카탈로그화하고, 연구자들이 기존 데이터 세트를 발견하고 잠재적 파트너십을 탐색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소유권과 관리 권한은 모든 경우에 데이터 소유자에게 있으며, 이는 글로벌 웨이더의 데이터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조류 추적 데이터를 보유하고 계신다면, 이 이니셔티브에 기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정보는 https://www.globalwader.org/에서 확인하거나 [email protected]로 연락해 주세요.